카카오톡 ai 사용 방법. 실험실 설정. 대화 요약 등
여기저기 안 끼는데 없이, 약방의 감초처럼 이것저것 다 해보는 카카오톡에서 ai 서비스도 하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it기업이 분명하지만, 문어발식 사업 확장으로 딱히 it 기업스러운 면모는 보이지 않는 카카오인지라, 큰 기대는 안되네요.
it 기업이 ai 관련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하는데, 묘한 거부감이 드네요.
카카오톡의 ai서비스는 추후 정식 서비스가 되면 실험실이 아닌, 어플 설정에서 가능하겠지만, 현재까지는(2025,4,2 기준) 실험실에서 사용 설정을 해주셔야 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카카오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ai 서비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와 실험실에서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단톡방 잠그기. 카톡 오픈톡방 입력창 잠금. ✔️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설정 방법. 내 이름, 별명 등 설정한 단어가 언급될 때만 카톡 울리게 하기. 단톡방, 오픈톡방 설정 필수. |
카카오톡 ai 서비스.

카카오톡에서는 실험실을 통해 ai 서비스들을 하나둘씩 선보였다, 없애기도 하고, 카카오톡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시키기도 하는데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카카오 ai 기능들에 대해 제미나이에게 정리를 시켜봤습니다.
카카오톡은 다양한 AI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주요 AI 서비스 종류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톡 채널 챗봇
- 기능:
- 24시간 자동 응대: 고객 문의에 대한 즉각적인 답변 제공
- AI 기반 자연어 처리: 고객의 질문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답변 제공
- 다양한 기능 연동: 예약, 주문, 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 연동 가능
- 활용:
- 기업 고객 상담, 상품 주문, 예약 서비스 등
2. 카카오톡 AI 기능 (실험실 기능)
- 기능:
- 안 읽은 대화 요약: 긴 대화 내용을 요약하여 핵심 내용 파악 지원
- 말투 변경: 대화 상대에 맞춰 다양한 말투로 메시지 작성 지원 (예: 정중체, 상냥체 등)
- 특징:
- 카카오브레인의 AI 기술 활용
-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개선
3. 세이프봇 (Safebot)
- 기능:
- 욕설 및 유해 표현 자동 감지 및 필터링
- 건전한 온라인 환경 조성
- 적용 범위:
- 카카오톡, 다음 뉴스, 카카오스토리 등 다양한 카카오 서비스
4. 카나나 (Kanana)
- 기능
- 대화형 AI 서비스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카카오의 AI 기술과 오픈AI의 API를 결합하여 높은 수준의 대화 능력 제공
- 특징
- 2024년 상반기 출시 예정
-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맞춤형 정보 제공
5. AI 메이트 로컬
- 기능
- 사용자의 요청 맥락에 맞는 장소 추천
- 카카오맵 등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여 활용 가능
- 특징
- 사용자의 위치 및 선호도 기반 맞춤형 추천 제공
주요 특징
- 카카오브레인의 최신 AI 기술 적용
- 사용자 편의성 및 경험 향상에 초점
-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기능 추가
카카오톡 AI 서비스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의 기능들에 카카오톡 대화시 번역 및 맞춤법 서비스도 추가가 됩니다. 제가 가장 유용하게 써먹고 있는 기능인데, 요건 얘기를 안해주네요.
역시 아직 ai를 완벽히 믿기에는….조금 미흡한 것 같습니다.
카카오톡 ai 실험실 사용 설정.

카카오톡 ai의 세부 기능들에 대해서는 추후 기회가 되면 자세히 소개해보기로 하고, 실험실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해드리고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설정 방법은
1 카카오톡 실행
2. 하단 우측의 더 보기를 선택

3. 상단 우측의 설정을 선택

4. 실험실을 선택

5. ai 기능 이용하기를 선택

6. 스위치를 on/off

스위치를 끄거나 켜주시면 됩니다.
현재 기준 2개의 스위치만 존재하는데, 추후 스위치가 추가되거나,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가끔 생각날 때마다 한번씩 확인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이상 카카오톡 ai 서비스 사용 설정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